Java

상수와 enum

상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다. 아래에서 좌항이 변수이고 우항이 상수이다.

int x = 1;

아래와 같은 구문은 있을 수 없다. 1은 2가 될 수 없다.

1 = 2;

상수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로직을 작성할 수 있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1. 사과
		 * 2. 복숭아
		 * 3. 바나나
		 */
		int type = 1;
		switch(type){
			case 1:
				System.out.println(57);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34);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93);
				break;
		}
	}

}

위와 같은 로직에서 숫자 1에 해당하는 과일은 언제나 사과여야 한다. 그러므로 변하지 않는 값인 상수값에 따라서 그 값에 해당하는 과일의 의미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주석으로 상수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지만 주석이 없어졌거나, 주석이 상수를 사용하는 코드와 멀어진다면 각 숫자에 해당하는 과일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거 어렵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런 때는 이름이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변수도 상수가 될 수 있다. 변수를 지정하고 그 변수를 final로 처리하면 한번 설정된 변수의 값은 더 이상 바뀌지 않는다. 또한 바뀌지 않는 값이라면 인스턴스 변수가 아니라 클래스 변수(static)로 지정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public class ConstantDemo {
    private final static int APPL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PEACH = 2;
	private final static int BANANA =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그런데 프로그램이 커지면서 누군가 기업에 대한 상수가 필요해졌다. 해서 아래와 같이 코드를 변경했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public class ConstantDemo {
    // fruit
    private final static int APPL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PEACH = 2;
	private final static int BANANA = 3;
	
	// company
	private final static int GOOGL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APPLE = 2;
	private final static int ORACLE =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과일 APPLE과 기업 APPLE이 서로 같은 이름을 가진다. 이렇게 되면 APPLE의 값이 2에서 1로 바뀐다. 프로그램은 오동작 할 것이다. 다행인 것은 final로 선언했기 때문에 컴파일이 되지 않고 이름이 중복되는 문제를 방지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미 기업에 대한 상수를 작성했고 이것이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APPLE을 추가하려면 낭패가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접두사를 붙여보자.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public class ConstantDemo {
    // fruit
    private final static int FRUIT_APPL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FRUIT_PEACH = 2;
	private final static int FRUIT_BANANA = 3;
	
	// company
	private final static int COMPANY_GOOGLE = 1;
	private final static int COMPANY_APPLE = 2;
	private final static int COMPANY_ORACLE =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FRUIT_APPLE;
		switch(type){
			case FRUIT_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FRUIT_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FRUIT_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이름이 중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을 네임스페이스라고 한다. 그런데 상수가 너무 지저분하다. 좀 깔끔하게 바꿀 수 없을까? 이럴 때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interface FRUIT{
    int APPLE=1, PEACH=2, BANANA=3;
}
interface COMPANY{
	int GOOGLE=1, APPLE=2, ORACLE=3;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FRUIT.APPLE;
		switch(type){
			case FRUIT.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FRUIT.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FRUIT.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훨씬 깔끔하다. 접미사(FRUIT_, COMPANY_)로 이름을 구분했던 부분이 인터페이스로 구분되기 때문에 언어의 특성을 보다 잘 살린 구조가 되었다. 인터페이스를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인터페이스에서 선언된 변수는 무조건 public static final의 속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런데 type의 값으로 누군가 COMPANY_GOOGLE을 사용했다면 어떻게 될까? 13행을 아래와 같이 변경해보자.

int type = COMPANY.GOOGLE;

결과는 57 Kcal이다! 구글이 57 Kcal인 것이다!

우리 코드는 과일과 기업이라는 두 개의 상수 그룹이 존재한다. 위의 코드는 서로 다른 상수그룹의 비교를 시도했고 양쪽 모두 값이 정수 1이기 때문에 오류를 사전에 찾아주지 못하고 있다. 컴파일러가 이런 실수를 사전에 찾아줄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class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APPLE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PEACH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BANANA = new Fruit();
}
class Company{
    public static final Company GOOGLE = new Company();
	public static final Company APPLE = new Company();
	public static final Company ORACLE = new COMPANY(Company);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Fruit.APPLE == Company.APPLE){
			System.out.println("과일 애플과 회사 애플이 같다.");
		}
	}
}

Fruit와 Company 클래스를 만들고 클래스 변수로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변수가 final이기 때문에 불변이고, Static이므로 인스턴스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 결과는 17행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이것이 우리가 바라던 것이다.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상수에 대해서는 비교조차 금지하게 된 것이다. 언제나 오류는 컴파일 시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는 찾아내기가 더욱 어렵다.

그런데 위의 코드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하나는 switch 문에서 사용할 수 없고 또 하나는 선언이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다. 주인공이 등장할 시간이 되었다.

enum

enum은 열거형(enumerated type)이라고 부른다. 열거형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예제에서는 Fruit와 Company가 말하자면 열거인 셈이다. 이러한 패턴을 자바 1.5부터 문법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열거형이다. 이전 코드를 enum으로 바꿔보자.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enum Fruit{
    APPLE, PEACH, BANANA;
}
enum Company{
	GOOGLE, APPLE, ORACLE;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if(Fruit.APPLE == Company.APPLE){
			System.out.println("과일 애플과 회사 애플이 같다.");
		}
		*/
		Fruit type = Fruit.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위의 코드를 하나씩 살펴보자.

enum Fruit{
    APPLE, PEACH, BANANA;
}

enum은 class, interface와 동급의 형식을 가지는 단위다. 하지만 enum은 사실상 class이다. 편의를 위해서 enum만을 위한 문법적 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해서 enum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위의 코드는 아래 코드와 사실상 같다.

class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APPLE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PEACH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BANANA = new Fruit();
    private Fruit(){}
}

생성자의 접근 제어자가 private이다. 그것이 클래스 Fruit를 인스턴스로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enum은 많은 곳에서 사용하던 디자인 패턴을 언어가 채택해서 문법적인 요소로 단순화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 코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
if(Fruit.APPLE == Company.APPLE){
	System.out.println("과일 애플과 회사 애플이 같다.");
}
*/

enum이 서로 다른 상수 그룹에 대한 비교를 컴파일 시점에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수 그룹 별로 클래스를 만든 것의 효과를 enum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num을 사용하는 이유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코드가 단순해진다.
  • 인스턴스 생성과 상속을 방지한다.
  • 키워드 enum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현의 의도가 열거임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enum과 생성자

enum은 사실 클래스다. 그렇기 때문에 생성자를 가질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해보자.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enum Fruit{
    APPLE, PEACH, BANANA;
	Fruit(){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
}

enum Company{
	GOOGLE, APPLE, ORACLE;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if(Fruit.APPLE == Company.APPLE){
			System.out.println("과일 애플과 회사 애플이 같다.");
		}
		*/
		Fruit type = Fruit.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
				break;
		}
	}
}

차이점

결과는 아래와 같다.

Call Constructor APPLE
Call Constructor PEACH
Call Constructor BANANA
57 kcal

Call Constructor가 출력된 것은 생성자 Fruit가 호출되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3번 호출되었다는 것은 필드의 숫자만큼 호출되었다는 뜻이다. 즉 enum은 생성자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코드를 아래와 같이 바꾸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enum Fruit{
    APPLE, PEACH, BANANA;
	public Fruit(){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
}

이것은 enum의 생성자가 접근 제어자 private만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덕분에 Fruit를 직접 생성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생성자의 매개변수를 통해서 필드(APPLE..)의 인스턴스 변수 값을 부여 할 수 있다는 말일까? 있다. 그런데 방식이 좀 생경하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enum Fruit{
    APPLE("red"), PEACH("pink"), BANANA("yellow");
	public String color;
	Fruit(String color){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this.color = color;
	}
}

enum Company{
	GOOGLE, APPLE, ORACLE;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if(Fruit.APPLE == Company.APPLE){
			System.out.println("과일 애플과 회사 애플이 같다.");
		}
		*/
		Fruit type = Fruit.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Fruit.APPLE.color);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Fruit.PEACH.color);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Fruit.BANANA.color);
				break;
		}
	}
}

차이점

실행결과는 아래와 같다.

Call Constructor APPLE
Call Constructor PEACH
Call Constructor BANANA
57 kcal, red

 아래 코드는 Fruit의 상수를 선언하면서 동시에 생성자를 호출하고 있다.

    APPLE("red"), PEACH("pink"), BANANA("yellow");

아래 코드는 생성자다. 생성자의 매개변수로 전달된 값은 this.color를 통해서 5행의 인스턴스 변수의 값으로 할당된다.

	Fruit(String color){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this.color = color;
	}

아래처럼 호출하면 APPLE에 할당된 Fruit 인스턴스의 color 필드를 반환하게 된다.

System.out.println(57+" kcal, "+Fruit.APPLE.color);

열거형은 메소드를 가질수도 있다. 아래 코드는 이전 예제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enum Fruit{
    APPLE("red"), PEACH("pink"), BANANA("yellow");
	private String color;
	Fruit(String color){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this.color = color;
	}
	String getColor(){
		return this.color;
	}
}

enum Company{
	GOOGLE, APPLE, ORACLE;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ruit type = Fruit.APPLE;
		switch(type){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kcal, "+Fruit.APPLE.getColor());
				break;
			case PEACH:
				System.out.println(34+" kcal"+Fruit.PEACH.getColor());
				break;
			case BANANA:
				System.out.println(93+" kcal"+Fruit.BANANA.getColor());
				break;
		}
	}
}

차이점

enum은 맴버 전체를 열거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constant2;

enum Fruit{
    APPLE("red"), PEACH("pink"), BANANA("yellow");
	private String color;
	Fruit(String color){
		System.out.println("Call Constructor "+this);
		this.color = color;
	}
	String getColor(){
		return this.color;
	}
}

enum Company{
	GOOGLE, APPLE, ORACLE;
}

public class Constan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Fruit f : Fruit.values()){
			System.out.println(f+", "+f.getColor());
		}
	}
}

열거형의 특성을 정리해보자. 열거형은 연관된 값들을 저장한다. 또 그 값들이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뿐만 아니라 열거형 자체가 클래스이기 때문에 열거형 내부에 생성자, 필드, 메소드를 가질 수 있어서 단순히 상수가 아니라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댓글

댓글 본문
  1. 니도르
  2. wwwqiqi
    enum이라는 개념이 굉장히 생소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많이 배웠습니다. 완료
  3. PassionOfStudy
    복습 7일차!
  4. PassionOfStudy
    상수와 Enum!
  5. 코드파괴자
    22.05.09 Form Ride. Constant!!
  6. 모찌말랑카우
    22.03.03
  7. 금도끼은도끼
    class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APPLE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PEACH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BANANA = new Fruit();
    }
    이 이해가 안갑니다... 제가 궁금한건 APPLE 상수를 new FRUIT() 객체를 생성한다는것과
    그러면 Fruit클래스 안에 상수들이 전부 객체가 생성되고 그러면 또 재귀함수처럼 되는거아닌가요??
    아 구글찾아바도 답이없구 넘 이해가 안되요
  8. aesop0207
    22.02.20. Sun.
  9. 유학생
    항상 정리잘해주셔서 잘 보고 있어요
    대화보기
    • 드림보이
      2021.12.29. 상수와 enum 파트 수강완료
    • syh712
      2021-12-14
      <상수와 enum>
      1.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다. 아래에서 좌항이 변수이고 우항이 상수이다.
      int x = 1;
      2. 접두사 붙이기: 이름이 중복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을 네임스페이스라고 함.; 인터페이스를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인터페이스에서 선언된 변수는 무조건 public static final의 속성을 가짐.; 언제나 오류는 컴파일 시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는 찾아내기가 더욱 어렵다.
      3. enum: enum은 열거형(enumerated type)이라고 부른다. 열거형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 enum은 class, interface와 동급의 형식을 가지는 단위다. 하지만 enum은 사실상 class임. enum이 서로 다른 상수 그룹에 대한 비교를 컴파일 시점에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 이넘사용 이유?
      코드가 단순해진다.
      인스턴스 생성과 상속을 방지한다.
      키워드 enum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현의 의도가 열거임을 분명

      4. enum과 생성자
      열거형의 특성: 열거형은 연관된 값들을 저장한다. 또 그 값들이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뿐만 아니라 열거형 자체가 클래스이기 때문에 열거형 내부에 생성자, 필드, 메소드를 가질 수 있어서 단순히 상수가 아니라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H4PPY
      1120
    • IaaS
      2021.11.03 수강완료
    • 악어수장
      2021-5-11 완료
    • 임태혁
      항상 느끼는 것인데 내공이 엄청나시네요... 이런 지식은 어디서 공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boksoon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코딩의 본질을 전수하시는군요...존경스럽습니당,,
    • 행복코딩
      예전에 봤던 거지만 회사 다니면서 궁금한 게 생겨서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다시 봐도 깔끔한 정리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 김요한
      2020.08.10 복습 완료
    • 김승민
      2020-05-07
      감사합니다~
    • 초보
      솔직히 enum까지 갈떄까지 코드들이 이해가 가진 않네요 .ㅠㅠ 접근자 STATIC등등 제가 알고있는 거랑 계념이 다르게 작용하는 것 같아서 햇갈리기도 하구요 ㅠㅠㅠ그냥 상수를 만들고 싶을 땐 enum을 사용한다.
      정도로 이해하도 될까요?
    •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new 연산으로 생성한 객체는 Heap영역에 올라갑니다. 그리고 그것의 레퍼런스 변수인 Fruit으로 선언된 데이터 타입들은 메서드 영역에 올라가고 그렇게 둘은 이어지는거죠.
      대화보기
      • 허공
        감사합니다!
      • 홍주호
        20191003 완료
      • silver94
        감사합니다!!
      • 소월
        필드 = 변수
      • doevery
        수강 완료
      • 아롱범
        텍스트 일독 후 다음 날 영상들을 보니 확실하게 이해가 가네요. 이번 챕터는 텍스트만 읽기보다 영상을 같이 보기를 추천드립니다.
      • p.navillera
        public static final Fruit APPLE = new Fruit(); 에서
        APPLE 앞의 Fruit는 클래스(데이터타입)을 의미하고 new 뒤 Fruit는 메소드(생성자)를 의미한다고 배웠는데,
        "많은 음식들 중에서 'Fruit/과일' 이라는 형태의 새로운 객체 APPLE을 생성하고, 그 객체 APPLE은 Fruit 메소드를 인스턴스화 시킨것이기 때문에 Fruit 메소드 안에 정의된 과일만의 동작방식을 담고 있는 것이다."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대화보기
        • 라또마니
          이 부분도 다시 한번 학습해야겠네요~
        • 궁금합니다~~
          class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APPLE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PEACH = new Fruit();
          public static final Fruit BANANA = new Fruit();
          }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자기 자신을 스스로 인스턴스화 시킨다?
          +
          그리고 저는 static -> 램에 올려서 바로 접근
          new -> 실제 객체를 만들어 램에 올림(바로 접근)
          이런 식으로 이해를 해왔는데 잘못된 접근 방식인가요?
          정확히 바로 잡아 주실 분이 있으시면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어디에 가서 그거 다시 보세요~ 라고 안해주셨으면 합니다 ㅠㅠ 아무리 구글에 뒤져보고 다시 봐도 원하는 답이 안나옵니다
          감사합니다~~
        • uni2130@gmail.com
          for(int i=0 ; i < Fruit.values().length ; i++) {
          System.out.println(Fruit.values()[i] + ", " + Fruit.values()[i].getColor());
          }

          이런식으로 접근하시면 될 것 같아요
          대화보기
          • 전민희
            어렵당 그래도 완료
          • hoany1215@gmail.com
            Fruit[] Array = new Fruit[10];

            이렇게 배열이 형성이되면

            Array 10개의 공간에 프루츠 객체가 10개 생성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따라서

            for(int i = 0; i < Array.length; i++) {
            for(Fruit f: Array[i].values()) {
            System.out.println(f + ", " + f.getColor());
            }
            }

            이중 for문을 통해 접근하실수 있습니다!
            대화보기
            • 이태호
              7/17
            • 초보코딩배우미
              마지막 예제에서 끝에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Fruit f : Fruit.values()){
              System.out.println(f+", "+f.getColor());
              }

              for문을 int i=0;i<???;i++) i를 써서 변환하는건 어떻게 하는건가요?..
              갑자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ps.. 앞에서 한것처럼 배열값넣고 하려니깐 에러가 떠서 질문드립니다.
            • 공동공구
              enum 오랜만에 다시 복습차원..넘나새롭다
            • 김진홍
              감사합니다.
            • ㅁㄴㅇ
              흠.. 이건 좀 어렵네요 ㅠㅠ
            • vincyper
              1.문법오류
              한다는 겁니다 -> 합니다.
              한다는 것이죠 -> 합니다.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겁니다.
              오는 것이고 -> 오고
              2. 기타
              이죠 -> 입니다.
              거죠 -> 습니다.
              있게 된다 라는 거죠 -> 있게 됩니다.
            • egoing
              충고 감사합니다. 노력 하겠습니다. ^^
              대화보기
              • karl
                package org.opentutorials.java.enu;

                public class Enu {
                private final static int Apple = 1 ;
                private final static int Orange = 2 ;
                private final static int Bnana = 3 ;
                private final static int Peach = 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ype = Apple;

                switch(type) {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Orange: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Bnana: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Peach: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
                }이렇게 하면 당연한 결과이지만 실행이 되는데 왜 아래 코드 처럼 메인메소드에 모든 코드를 넣게되면 실행이안되나요 ?
                package org.opentutorials.java.enu;

                public class Enu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vate final static int Apple = 1 ;
                private final static int Orange = 2 ;
                private final static int Bnana = 3 ;
                private final static int Peach = 4 ;


                int type = Apple;

                switch(type) {

                case Apple: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Orange: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Bnana: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case Peach:
                System.out.println(57+ " kal");
                break ;
                }
                }

                }
              • 하면된다하자
                이제 거의 다왔네요. 끝까지 고고

                enum Fruit{
                APPLE("red"), BANANA("yellow"), PEAR("white");
                private String color;

                Fruit() {
                System.out.println("기본생성자");
                }
                Fruit(String a){
                this.color = a;
                System.out.println("String 생성자");

                }

                public String getColor() {
                return this.color;
                }
                }

                public class A8_EnumDemo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ruit type = Fruit.APPLE;
                System.out.println(Fruit.BANANA.getColor());
                }
                }
              • soma
                다른 동영상 보다가 선생님 동영상 보니깐 확 이해가 잘 되네요..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popinbompin
                이넘
              • 정윤상
                이놈
                대화보기
                • 헬리사우드
                  유효범위 배우다가 enum이 뭔가 너무 궁금해서 와서 배우고갑니다. enum 좋네요 ㅎㅎ
                • 아직직접코딩은 어려워
                  2번째 영상 10분 40초 ~ 10분 50초에 한꺼번에 소스코드를 바꿀 수 있는 기능 알려주셨던 부분에서 ctrl+alt+T라고 말씀해주셔서 눌러봤는데 안돼서 찾아봤는데 shift+alt+T 더라구요ㅠㅠ (제가 잘못들은 것일 수도 있어요)

                  앗 참고로 저같이 초보 중에서 저런기능 사용하려고 하시는 분들 shift+alt+T 말고 shift+alt+R 누르시면 바로 됩니다ㅎ(영상에 단축키나오는거 지금봤네요ㅠ)
                • Younghun Liam Youn
                  감사합니다!
                • 뒷골목냥이
                  enum의 class로서의 재해석 잘보았습니다.
                  자바 공부 다시하는데 큰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GoldPenguin
                  감사합니다.
                버전 관리
                egoing
                현재 버전
                선택 버전
                graphittie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