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 설명 |
---|---|
{block:PostNotes} {/block:PostNotes} | 해당 포스트가 notes를 가지고 있다면 퍼머링크 페이지에 출력합니다. |
{PostNotes} | 해당 포스트의 notes를 출력합니다. 단 퍼머링크 페이지에서만 출력합니다. |
{PostNotes-16} | 해당 포스트의 notes를 16X16사이즈의 아바타와 함께 출력합니다. 단 퍼머링크 페이지에서만 출력합니다. |
{PostNotes-64} | 해당 포스트의 notes를 64X64사이즈의 아바타와 함께 출력합니다. 단 퍼머링크 페이지에서만 출력합니다. |
{block:NoteCount} {/block:NoteCount} | 해당 포스트가 노트를 가지고 있다면 출력합니다. 항상 notes를 이 블럭으로 감싸도록 하여 포스트가 없을때 제대로 숨길 수 있게 합니다. |
{NoteCount} | 해당 포스트의 노트 갯수. |
{NoteCountWithLabel} | 레이블과 함께 해당 포스트의 노트 갯수를 출력합니다. |
Notes는 AJAX로 페이지넘버를 출력합니다. If your theme needs to manipulate the Notes markup or DOM nodes, you can add a Javascript callback that fires when a new page of Notes is loaded or inserted:
변수 | 설명 |
---|---|
tumblrNotesLoaded(notes_html) | If this Javascript function is defined, it will be triggered when a new page of Notes is loaded and ready to be inserted. If this function returns false, it will block the Notes from being inserted. |
tumblrNotesInserted() | If this Javascript function is defined, it will be triggered after a new page of Notes has been inserted into the DOM. |
Exampl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 html > < head > < style type = "text/css" > ol.notes { padding: 0px; margin: 25px 0px; list-style-type: none; border-bottom: solid 1px #ccc; } ol.notes li.note { border-top: solid 1px #ccc; padding: 10px; } ol.notes li.note img.avatar { vertical-align: -4px; margin-right: 10px; width: 16px; height: 16px; } ol.notes li.note span.action { font-weight: bold; } ol.notes li.note .answer_content { font-weight: normal; } ol.notes li.note blockquote { border-color: #eee; padding: 4px 10px; margin: 10px 0px 0px 25px; } ol.notes li.note blockquote a { text-decoration: none; } </ style > </ head > < body > {block:Posts} ... {PostNotes} {/block:Posts} </ body > </ htm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