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연습

70억 인구 - 예습

예습한 것(나솔)

. Landmark Report Sees Possibility, Not Peril(심각한 위험), in Population Milestone(획기적인, 중요한 단계, 사건)

>> 제목만 보면 감이 안 오넹..

>> 다시 읽어보니 이런 얘기인 듯..

원문 : http://www.time.com/time/specials/packages/article/0,28804,2097720_2097782_2097781,00.html

훔.. 이거 읽고 싶음..

http://www.time.com/time/specials/packages/0,28757,2059521,00.html

이정표가 만한 보고서가 나왔는데, 여기에서는 인구와 관련하여
오히려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겁낼  없다..
오히려 우리가 직면한 도전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에 대처하자.. ..

Oct. 26, 2011/TIME

By Emily Rauhala

In January of 1960, TIME ran a cover story headlined “That Population Explosion.” It featured a chaotic collage of women from around the world, their babies bursting from the magazine’s red margins(잡지에서 빨간 글자로 나왔다 이건가? 아.. 이미지를 보니 테두리가 빨갛게 되어 있구만. ). Eight years later, Paul Ehrlich published The Population Bomb, which predicted mass starvation and upheaval(봉기 말고 좀 나은 표현은?). The thinking then — and it persists now — was that population growth would hasten our demise(인구 증가로 인해서 종말이 앞당겨질 것이다.), because, well, there’s just not enough to go around(몫이 돌아가다).

위 글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이 나옴..

아래 나온 보고서에 따르면, 위와 같은 믿음에 반하는 내용이 나오겠구만..

가지 대조되는 생각..

기존의 생각 : 인구의 증가로 빈곤과 혼란이 와서 종말이 앞당겨질 것이다.

새로운 문제제기 : 지역마다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다르다. 반드시 인구 증가로 혼란이 커지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가능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A new report by the U.N. Population Fund (UNFPA) challenges(한국어 좋은 표현은?) that thinking. In People and Possibilities in a World of 7 Billion(요게 보고서 이름인 ), the agency zooms in on the vastly different population scenarios playing out across the world. In some countries, high fertility rates hamper(방해한다.) development and perpetuate(영속시킨다.) poverty. (몇몇 국가에서는 출산률이 높아서 경제성장이 더뎌지고 빈곤이 지속된다.) Elsewhere, low birthrates threaten growth. (다른 국가에서는 저출산 때문에 성장이 위협받는다.) “The key question is no longer ‘Are we too many?’“ Dr. Babatunde Osotimehin, head of the UNFPA, tells TIME. “We have such differ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round the world.”  (지역마다 해결해야 하는 과제와 기회가 다르다.)

Many of those challenges, and indeed many of the possibilities, relate to fertility. (과제와 기회는 출산율과 관련된다.) In the world’s least developed countries(저개발 국가라고 표현??), the fertility rate(계산법은?) is about 4.2, with sub-Saharan Africa reporting a rate of 4.8. Such high rates come with economic and social costs. In Mozambique, for instance, health experts found that women who did not space(의미?) their pregnancies by two years(2년 정도 기간을 두지 않고 계속 아이를 낳으면??) were more susceptible to illness and, in turn, less able to provide for their families. U.N. research also found that the country’s relatively small formal economy(여기서 formal의 의미는?) struggled to absorb the large number of young people entering the labor market each year. (수가 너무 많으면 고용 관련해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But a “population bomb” isn’t inevitable. (흠.. 여기서 인구폭발은 인구가 엄청 많아지는 것? 아니면 줄어드는 것? 당연히 많아지는 걸텐데, 왠지 뒤에 읽다보니 딴 생각이 들어서..) (결국 인구 폭발은 불가피.. 왜  but쓰지? 위에서 인구 폭발이 안 일어날 거라고 얘기라도 했나? 에고.. 아앗.. isn’t 부분을 잘못 파악했음. 인구 폭발은 피할 수 없는 게 아니다. 즉, 피할 있다!!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 Fertility rates change(출산율은 달라진다.). In the 1950s, the average woman gave birth to six children. The average is now 2.5. That decline is both cause and effect of economic development. As women get wealthier, they tend to have fewer kids. The drop also reflects the fact that women’s societal roles are changing. “Where women have been empowered, fertility ideals(뭐라 표현하면 좋을꼬?) have changed,” says Osotimehin. “In Brazil, the fertility rate has been reduced because women have been educated. They have been allowed to hold jobs(표현??). They make decisions on theirown.” (문단을 끝까지 읽어보니까 인구가 출어드는게 인구 폭발인가?? >> 이제 알겠음.)

 

Access to modern contraception is also critical.(이제야 연결이 되는구만. 피임법 접근성이 좋아져야, 결국 인구 폭발을 막을 수 있음. 그런 의미에서 피임법 접근성 향상이 중요하다는 것..))  In 2005, the U.N. World Summit vowed to(맹세했다. 훔.. 맹세씩이나?) make reproductive health(생식 건강.. 뭐라고 표현하면 좋을까나? 출산관련 건강?) universal by 2015.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but there are still 46 countries where 20% or more of women who are married (or living in a union) have an unmet need(의미는? 충족되지 않은 니즈.. 피임에 접근하지 못한다는 의미?)) for family planning. “We need integrated(좋은 표현은?? 통합된.. 이런 표현 말고..) health programs where women have access to family planning,” Osotimehin says.

 

There’s no doubt that the report’s “7 billion people, 7 billion possibilities” tagline(slogan) reads a little rosy(장밋빛으로 보인다.). To the extent that it shifts the debate from ‘crises’ to constructive action, it’s worth a look(위기.. 를 좀더 건설적인 행동으로 논쟁의 구도를 바꾼다는 점에서 이 보고서는 한 번 살펴볼 만한 가치가 있다.). As the UNFPA chief told me, 7 Billion Day “isn’t about numbers.” It’s about people, poverty and human rights(사람, 빈곤, 인권, 여기서 인권은 여성의 권리?). (글이 뭔 얘기를 하려는 건지 잘 모르겠구만. >> 다시 읽어보니깐 이제야 알겠구만..

그니깐.. 요약하면, 보고서가 하나 나왔는데,

기존에 인구가 너무 빨리 증가해서 인구 폭발로 지구가 종말할 것이다..
이런 류의 접근과는 다르게,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폭발은 피할 있으며,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사람이 많다는 접근보다는,

여러 가지 다양한 과제들이 있으며,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런 취지인 .. )

 

댓글

댓글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