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전 글에 대한 답글이긴 한데 지금 이 강의를 보시는 분들도 샤핀님과 같은 상태에 봉착하시는 분이
많으실거 같네요.. 저도 강좌 보면서 ... 어? 왜 다시 <header> 태그 추가 상태로 리비전이 돌아가있지?
했거든요.. egoing님이 설명은 안하신 부분이긴 한데.
sourceTree 우상단 아이콘중에 Terminal을 눌러서 터미널창을 엽니다. 그곳에서 명령어를 넣을수 있는데
git reflog 를 치면 그동안 지나왔던 모든 리비젼 목록이 뜹니다. 이상태에서 원하는 리비젼으로
git reset --hard 3aefa0b 와 같은 식으로 리비전 번호를 넣으면 그 상태로 돌아갈수 있습니다.
소스트리로만 볼때 reset --hard로 이전 상태로 돌아갔을때 그후에 만들어져있던 리비전들도 다 삭제된것처럼
보여서 다시 이후로 돌아가고 싶을때도 위와 같이 git reflog를 치면 모든 리비전 순서가 다 나오기 때문에
git reset --hard 리비전번호 를 쳐서 돌아갈수 있습니다.
html은 이고잉님 강좌를 봤기 때문에 파일의 내용을 이해 못한 것은 아니었구요.
버전관리 상의 강좌 진행에서 흐름이 끈겨서 문제제기를 했던 거라 제 질문이랑은 무관한 강의입니다 ^^;;
아마도 reset을 사용해서 revert적용해서 버전 올라갔던 내용을 취소 시키면 되는 듯 한데...
Revert 강좌에도 댓글로 달았는데 아래처럼 하고 싶었던 겁니다..
버전으로 표시하자면 아래처럼... Revert 강좌(4분18초 기준)
master Revert "body 태그 추가" <---- Revert 강좌의 마지막 버전 상태.
Revert "README.md 파일 추가"
Revert "수정 사항"
Revert "<header> 태그 추가"
<header> 태그 추가 <-------- 브랜치 강좌 버전 시작시 버전 상태로 돌아가고 싶었던 거였습니다.
수정 사항
README.md 파일 추가
그래서... 이고잉님이 말씀하시는 똑같은 상태로 만드는 법을 알려주시면 좋겠어서요.
revert된 상태에서 <header> 태그 추가 상태(최신 리비전상태)로 원복!?하는 법이 있을 텐데요.
revert강좌 끝마치신 다음에 브랜치 강좌 만드실려고 할 때 , <header> 태그 추가 버전으로 시작을 하는데, 그 위에 예를 들자면...
revert "README.md 파일추가" 와 같이 위에 있는 버전은 어떻게 없애셨나요.. reset 해서 위에 리비전 날리신 건지.. 어떻게 하신 건지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없거든요..
revert 없애려다가 위에 remove가 있어서 이건가 싶어서 시도해 봤는데... 아예 저장소 자체를 다 날려먹어서 이 방법은 아닌거 같고,
그렇다고 저장소 지우고 새로 생성해서 계속 index.html 생성하고 다시 저장하고, README.md 파일 만들어 가며 히스토리 만들어서 그상태로 만드는 건 더더욱 아닌 거 같아서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