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학년군 성취기준

가.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핵심 성취기준

선정 근거

611. 다양한 감정이 발생하는 원인을 알고, 자신의 감정 표현의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여, 때와 장소 및 상대에 맞는 바람직한 감정 표현 방식과 다양한 감정을 바르게 다루는 방법을 배운다. 이를 위해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린 사람들의 모범 사례들을 찾아보고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

611. 다양한 감정이 발생하는 원인을 알고 자신의 감정 표현의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여 때와 장소 및 상대에 따라 바람직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 이 대단원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요소는 도덕적 주체로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결단한 내용을 성실하게 행동으로 옮기며, 그 결과에 책임을 질 줄 알고 도덕적으로 성찰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 교육 목표를 기준으로 고려한다면 결과에 책임 질 줄 알고 성찰하는 태도와 관련이 깊은 도612와 도614가 핵심 성취기준으로 가장 적합하다.

 

- 교과교육 내용의 중요성 측면에서 도611, 613을 핵심 성취기준에 두지 않은 것은 3·4학년군에서(411,413) 이와 연관된 내용이 핵심 성취기준으로 선정되어 중점을 두어 다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절제의 학습 안에서 감정 조절 및 긍정적인 자신의 모습과 책임감도 함께 녹여낼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교수학습의 실행가능성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 사이의 갈등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절제할 줄 모른다는 점, 나아가 사후 수습에 있어 책임감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 기인하므로 도612와 도614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라 여겨진다. 특히 도612, 614는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발달단계, 교수학습활동의 실행가능성 측면에 있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 611, 613의 중요도가 조금 낮다는 것은 수업 시간의 배분 조절이나 단원 연계 등을 통해 해당 성취기준을 다룰 수 있다는 의미이지 그 부분을 배제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따라서 핵심 성취기준을 좀 더 강조하고 일반 성취기준을 조금 덜 강조한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612. 책임을 다하는 생활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맡은 일을 충실히 해 내며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자신의 역할이나 과제, 의무 등에 대해 책임을 다하는 자세가 중요한 이유를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찾아보고 책임을 다한 삶의 모습을 본받는다.

612. 가정과 학교에서 책임을 다하는 생활의 의미와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알고 자신이 맡은 일을 충실히 해 내며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바람직한 태도를 가질 수 있다.

613. 우리의 삶에서 자긍심이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올바른 자긍심을 바탕으로 자기 삶의 목표를 세우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자신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발표하고,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613. 자긍심의 의미와 중요성을 명확하게 알고, 올바른 자긍심을 바탕으로 자기 삶의 목표를 세우며 이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관된 태도를 가질 수 있다.

 

614. 일상생활에서 무분별한 욕구를 잘 다스리고 절제하는 생활을 해야 하는 이유를 알고, 생활 속에서 절제를 꾸준히 실천하는 자세를 기른다. 이를 위해 계획을 세워 실천했을 때의 좋은 점과 무절제한 생활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나와 사회를 위해 일상생활에서 절제하는 생활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 토론한다.

614. 절제하는 생활의 참된 의미와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자신과 사회를 위해 절제하려는 일관된 생활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댓글

댓글 본문
graphittie 자세히 보기